제 1 장 수학교사교육 연구의 동향 및 예비 수학교사교육의 이슈_방정숙
Ⅰ. 서론 1
Ⅱ. 수학교사교육 연구의 동향 4
Ⅲ. 예비수학교사 교육의 이슈와 방향 9
Ⅳ. 결론 21
제 2 장 마이크로티칭의 이론과 운영 사례_이봉주
Ⅰ. 예비 수학교사교육에서 마이크로티칭 27
Ⅱ. 협력 마이크로티칭 운영 사례 33
제 3 장 중등 예비 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-학습 포트폴리오 활용_강현영
Ⅰ. 예비 수학교사교육과 교수 포트폴리오 49
Ⅱ. 교사의 수업 능력 개발 53
Ⅲ. 중등 예비 수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수-학습 포트폴리오 55
Ⅳ. 마치며 72
제 4 장 수학 수업 관찰 도구 활용이 예비 수학 교사의 주목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_김연
Ⅰ. 서론 79
Ⅱ. 이론적 배경 80
Ⅲ. 자료 및 연구 방법 83
Ⅳ. 결과 89
Ⅴ. 결론 및 제언 94
제 5 장 협력적 수업연구를 접목한 예비 수학교사교육 사례_김희정
Ⅰ. 서론 101
Ⅱ. 협력적 수업연구 102
Ⅲ. 예비 수학교사교육에서 협력적 수업연구 접목 운영 사례 107
Ⅳ. 논의 및 제언 113
제 6 장 예비교사를 위한 수업 탐구대회: 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_김진호
Ⅰ. 서문 119
Ⅱ. 좋은 수업 탐구대회: 수업 실연을 중심으로 121
Ⅲ. 제언 141
제 7 장 교대의 교육실습 사례_김상룡
Ⅰ. 서론 및 이론적배경 151
Ⅱ. 대구교육대학교 교생 실습 관련 교육프로그램 153
Ⅲ. 결론 및 시사점 164
제 8 장 미국 초등 예비 수학교사 실습교육 사례: 면담과제를 활용한 관행기반 교사교육_여승현
Ⅰ. 서론 177
Ⅱ. 미국의 실습교육 사례 182
Ⅲ. 논의 및 결론 195
제 9 장 미국 중등 예비 수학교사 실습교육 사례: 3단계 실습 모델_조호윤
Ⅰ. 서론 201
Ⅱ. Capital University 중등 예비 수학교사 프로그램 202
Ⅲ. 결론 211
제 10 장 예비 수학교사교육의 방향과 과제_권나영, 신보미
Ⅰ. 서론 213
Ⅱ. 수업 실행 능력 개발을 위한 예비 수학교사교육 215
Ⅲ. 예비 수학교사교육의 과제와 실습학기제 220
Ⅳ. 제언 226